실시간 뉴스


[조이人]① '파묘' 장재현 감독, '험한 것'에 담은 상징과 판타지 한스푼


(인터뷰)장재현 감독, '검은 사제들'·'사바하' 이어 '파묘'로 오컬트 정점
"쇠침의 상징을 '험한 것'으로, 주인공의 노력을 장르적으로 표현"
"모두가 즐길 수 있는 화끈한 영화 만들고 싶어 공포 영화로 접근 안 해"

[조이뉴스24 박진영 기자] 감독 장재현의 특기가 제대로 살아났다. 오컬트를 완성하는 기본 요소를 제대로 충족시키는 건 물론이고, 극 속에 빨려 들어갈 것 같은 현실감, 상징성까지 참 많은 것을 안겨주는 영화 '파묘'다.

'파묘'는 거액의 돈을 받고 수상한 묘를 이장한 풍수사와 장의사, 무속인들에게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을 담은 오컬트 미스터리 영화다. '검은 사제들', '사바하'로 오컬트 장르의 한 획을 그은 장재현 감독의 신작으로, 최민식은 최고의 풍수사 상덕, 김고은은 원혼을 달래는 무당 화림, 유해진은 예를 갖추는 장의사 영근, 이도현은 경문을 외는 무당 봉길 역을 맡아 신들린 열연을 펼쳤다.

장재현 감독이 영화 '파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주)쇼박스]
장재현 감독이 영화 '파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주)쇼박스]

지난 22일 개봉 첫날 33만 명이 넘는 관객을 동원하며 올해 최고 오프닝 스코어를 기록하더니 개봉 3일 만에 100만, 4일 만에 200만 관객을 넘고 5일째 박스오피스 1위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5일 동안의 누적 스코어는 262만 명이다.

이 같은 흥행은 장재현 감독의 노력, 열정으로 만들어진 높은 완성도의 극과 배우들의 열연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카메라 4대를 동원해 현실감을 제대로 살리며 압도적 기세, 기운을 느끼게 한 대살굿을 비롯해 혼부르기, 도깨비놀이 등 극 속에 등장하는 굿 장면은 숨 쉴 새 없이 압도적인 몰입감을 끌어올린다. 리얼리티를 중시한 연출과 과감하면서도 디테일이 살아있는 편집은 오컬트 장르의 재미를 극대화하며, 시작부터 끝까지 꿈틀거리는 듯한 베이스 소리는 긴장감과 스산한 분위기를 더한다.

"우리나라 땅엔 상처, 트라우마가 있다"라고 강조한 장재현 감독은 잘못된 과거를 꺼내 소멸시킨다는 의미를 상징적으로 담고자 했다. 하지만 이를 명확하게 그리는 대신 ‘험한 것’으로 표현해 장르적인 재미를 더하고자 했다. 풍수지리학에 따라 우리나라는 나무, 일본은 칼에 비유하며, 부러지지 않고 꺾이지 않으며 뿌리만 있다면 다시 자라나는 우리의 민족성을 은유적으로 그려낸 것 역시 인상적이다. 판타지를 한스푼 담기는 했지만, 장재현 감독의 특기라고 할 수 있는 그로테스크함이 제대로 돋보였다는 평가다. 다음은 장재현 감독과 나눈 일문일답이다.

- 어린 시절 100년이 넘은 무덤의 이장을 지켜본 기억으로 이 영화가 시작됐다고 했는데, 어떻게 쇠말뚝 이야기로 이어지게 됐나?

"어렸을 때 시골 뒷산 무덤에 올라가서 놀곤 했다. 어느 날, 사람들이 와서 제사를 지내고 굿도 했다. 지금은 파내서 화장하고 무덤을 없애는데, 그때는 이장이었던 것 같다. 땅을 파면 뭐가 나올지가 궁금하더라. 관을 꺼내는데 거기서 오는 호기심과 두려움, 복합적인 감정이 있었다. 나무 썩는 냄새가 남아있다. 그걸 영화로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재미있는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 풍수 지리사와 장의사를 만나 얘기를 하게 됐다. 직접 15번 정도 이장을 했다. 인상 깊었던 하루가 있는데, 상주가 뇌졸중이 왔다고 하더라. 이장을 하러 갔는데, 그 근처 수로 공사를 잘못해서 물이 넘어왔다. 그래서 관을 열어 토치로 화장을 했다. 그걸 보고 느낀 것이 파묘의 근원은 뭔가 잘못된 과거를 꺼내 소멸시키는 정서가 있더라. 그것이 발전되어 역사와 정서를 돌이켜 보면 우리 땅에 상처, 트라우마가 많다. 이걸 파묘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렇게 만들게 됐다."

배우 유해진, 최민식이 영화 '파묘'(감독 장재현)에서 열연하고 있다. [사진=(주)쇼박스]
배우 유해진, 최민식이 영화 '파묘'(감독 장재현)에서 열연하고 있다. [사진=(주)쇼박스]

- 전체 6장으로, 전반부와 후반부 두 줄기의 이야기가 배치됐다. 이 구조에 대한 고민도 있었을 것 같은데 어떤가?

"저는 각색을 한 번도 다른 사람에게 맡겨 본 적이 없다. 각색을 맡기면 늘 거절당한다. 그래서 마침표까지 제가 적는다. 작가로서 이야기 구조의 허리를 끊고 싶었다. 구조가 필연적으로 그렇게 됐다. 3막 구조로 깔끔하게 만들 수도 있는데, 이 영화는 이 구조가 주제를 드러내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 허리를 끊는 구조를 하고 싶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앞뒤를 연결하는 것이 '여우가 뱀의 허리를 끊었다'인데, 앞은 위장처럼 했다. 끊고 다 해결된 것 같은 안도감을 주고 싶었다. 후반에 에너지를 다시 끌어올리기가 쉽지는 않다. 그렇지만 이런 구성 자체가 주제를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 '파묘'는 '검은 사제들'과 '사바하'를 절충한 듯한 느낌이 있다. 연출 과정에서의 톤앤매너를 어떻게 잡았나?

"'검은 사제들' 때는 매번 '이야기가 왜 없냐'는 얘기를 들었다. 캐릭터만 있다고 하더라. '사바하'는 이야기가 너무 해비하다고 하더라. 6부작의 이야기를 2시간에 넣어서 캐릭터가 손해 봤다고 했다. 저의 감독관은 발전이다. 위험하지만, 같은 거 하고 싶지 않고 발전하고 싶다. 그래서 '재미있다' 보다 '발전했다'라는 말이 더 기분 좋다. 매일 매일 발전하고 싶어서, 돈은 많이 못 벌지만 오래 걸린다. 어머니는 '왜 5년씩 걸리냐' 하시지만, 저는 그동안 쉬지 않고 일했다. '사바하' 때는 아이가 태어났는데 놀아주지도 못했다. 시나리오를 미친 듯이 쓰고, 찍고, 후반 작업해서 5년이 걸린 거다. 장단점을 학습한다. 그래서 제 나름대로 절충안보다는 발전했다고 하는 것이 기분 좋고, 스스로 칭찬한다. 처음엔 이 이야기를 음흉한 공포영화로 만들고 싶었다. 그런데 코로나가 터졌다. 개봉이 미뤄지면서 유럽의 창고 영화가 많이 나왔다. 마스크 쓰고 극장 가서 보는데 싸늘하더라. '이래선 안 된다'는 생각에 극장에서 사람들이 보고 즐길 수 있는 영화, 화끈한 영화를 만들어야겠다'라고 생각했고, 주인공을 바꿨다. 원래 공포영화는 의뢰인이 주인공이다. '검은 사제들'이 공포 영화가 되려면 박소담과 그의 가족을 주인공으로 해야 하고, '사바하'도 금화(이재인 분), 그의 가족이 주인공이어야 무섭다. '파묘'도 전문가를 주인공으로 바꾸고 이야기를 해결하는 식으로 바꿨다. 공포 영화로 접근하지 않았다. 몇몇 부분에만 호러를 넣었고, 귀신도 잘 보이지 않는다. 제가 귀신을 찍어본 적이 없더라. 그래서 전 세계 심령사진을 찾아봤는데, 귀신은 찍는 게 아니라 찍히는 거더라. 그래서 찍히는 것처럼 찍었다. 그런 반면 뒤에 나오는 '험한 것'은 정반대다. 우리나라는 미라나 뱀파이어, 강시 이런 것에는 관대하다. 후반 등장하는 '험한 것'은 옆 나라 국가대표다. 그들에겐 전형적인데, 우리는 옆 나라에 대해 잘 모르더라. 그래서 그것을 데리고 왔다. 불편해하는 분들은 크리처물이라고 하시는데, 대사도 엄청 많다. 상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해결하는 주인공은 그 위에 있다. 사실 우리가 '어벤져스'를 보고 타노스를 기억하지는 않는다. 타노스와 싸운 이들이 기억에 남지 않나. 고군분투하며 싸운 인물이 기억날 수 있게 그 '험한 것'을 초빙한 거다."

배우 김고은이 영화 '파묘'에서 무당 화림 역을 맡아 열연을 펼치고 있다. [사진=(주)쇼박스]
배우 김고은이 영화 '파묘'에서 무당 화림 역을 맡아 열연을 펼치고 있다. [사진=(주)쇼박스]

- 그 '험한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관건일 것 같다.

"베를린에서 놀란 것이, 인물감을 안 느끼고 뱀파이어 정도로 알더라. 관에서 튀어나온 거라 이상하지 않게 받아들인다. 블라인드 시사를 했을 때 10~20대들은 선입견이 없더라. 그 존재에 대해 많이 알고 있었다. 물론 많은 고민이 있었는데, 괴수 영화처럼 무섭게 만들 이유를 못 찾았다. 실제 시체처럼 있었던 존재고, 그들이 하는 말에 주제가 담겼으면 했다. 뱀파이어물처럼 찍고 싶었다."

- 앞서 언급한대로 '험한 것'이 등장하는 후반부는 리얼리티를 기반으로 한 전반부의 온도와 확연한 차이가 있다. '상징성'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는데, 이렇게 판타지가 가미된 듯한 후반부의 설정 이유가 궁금하다.

"쇠침의 존재 여부는 가설이다. 믿는 사람도 있고 아닌 사람도 있다. 확인하지 못했다. 리얼리티면 이 쇠말뚝을 보여줄 수밖에 없는데 그거야말로 소위 말하는 '국뽕'이고, 제가 책임지기엔 부담스러운 것이다. 진짜가 아닐 수도 있다 보니 부담이 됐다. 그래서 판타지를 한스푼 넣어 '험한 것'을 데리고 와 그걸 상징화시켰다. 장르적인 재미를 붙인 거다. '쇠침을 뽑았다'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쇠침이 가진 상징적인 의미, 트라우마를 '험한 것'으로 표현해서 없애는 주인공의 노력을 장르적으로 풀다 보니까 판타지가 드러났다. 이것에 대한 호불호가 있는 것을 알지만, 저는 머물러 있을 수 없고 도전을 계속 해야 한다. 음흉한 공포보다는 역동적인 이야기로 풀어 쇠말뚝에 대한 부담을 상쇄시켰다."

- 쇠말뚝을 박는다는 걸 칼, 관으로 표현한 것도 신선했다.

"일본 애니미즘이라고 하는데, 물체와 혼이 섞여서 됐다. 칼은 전쟁의 잔여다. 그래서 칼을 넣는 장면이 나온다. 풍수지리학에서 우리나라는 나무, 일본은 칼에 비유하는데, 나무는 부러지지 않고 꺾이지 않는 생명력이 있다. 베어도 뿌리만 있으면 다시 자란다. 끈질긴 나무라고 하는데, 그 상징을 은유적으로, 장르적으로 풀려고 했다."

장재현 감독이 영화 '파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주)쇼박스]
장재현 감독이 영화 '파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주)쇼박스]

- 여자 머리 형상을 한 뱀의 의미가 궁금하다. 또 이도현 배우 몸의 문신은 왜 그렇게 한 건가?

"뱀은 '누레온나'(젊은 여자 얼굴에 뱀의 몸과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일본 요괴)라고 하는데, 건드리자마자 비가 온다. 이 뱀이 이 영화의 방향성을 잡아준다고 보면 된다. 트리거 역할이다. 봉길 같은 경우엔, '사바하' 때 친했던 무속인이 야구선수를 하다가 병이 왔다고 하더라. 온몸에 문신을 하고 무속인을 하고 있는데, 잘생기고 멋있다. 그분을 모델로 삼았다."

- 아쉬운 장면도 있나?

"200개는 된다. 신마다 실수가 보인다. 이전에는 콘티를 짜서 이어붙이고 편집한다. 이게 효율적이다. 그런데 한계가 느껴진다. 그림을 보고 편집을 하는데, 사람들은 전체 느낌을 본다. 그림이 아니라 기운이 중요한 거다. 이상한 기운을 담고 싶었다. 그래서 막 찍은 다음 좋은 것만 잘라서 응축하기로 했다. 투박하지만 에너지를 담는 작업을 선택했다. '황해'와 '아수라'가 그렇다. 그렇게 찍고 싶어서 이모개 촬영 감독님을 모시고 왔다. 현장에서 멘붕이 온다. 머릿속에서 조립해 오케이를 해야 하는데 그게 힘들었다. 현장에서 이게 맞는지 아닌지 모르겠고, 불확실하다. 촉으로 가야 하는 건데 미치겠더라. 그래서 다음부터는 안 할 거다.(웃음) 편집실에 갈 때마다 좋고 나쁜 것이 달라진다. 기분, 컨디션에 따라 오늘 좋았던 것이 내일은 좋지 않다. 그래서 다시 뜯어고친다. 불확실성의 연속이었다."

- 엔딩에 대한 의견도 다양하다. 뭔가 더 남았을 것 같은 찝찝함이 있다는 의견도 있었는데, 장재현 감독의 입장은 어떤가?

"저는 엔딩을 가장 좋아한다. 왜 의견이 다양한지 모르겠다. 저에겐 기특하고 뭉클한 엔딩이다. 모두가 행복하게 끝난 거다."

/박진영 기자(neat24@joy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조이人]① '파묘' 장재현 감독, '험한 것'에 담은 상징과 판타지 한스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