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제주도, 에너지자립 도시로 탈바꿈한다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 2050 탄소 중립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 정부가 2050 탄소 중립을 뒷받침하기로 했다. 제주도가 에너지자립 도시로 탈바꿈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3일 제주도 신재생에너지 홍보관에서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분산에너지란 중소규모의 재생에너지, 열병합발전, 자가발전,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요자원 등으로 수요지 인근에서 생산되어 해당 지역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이다.

대규모 발전소와 송전선로 건설 관련 사회적 갈등 증가로 수요지 인근에서 생산·소비되는 분산에너지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늘고 있다.

제주도 분산에너지 특구 추진 방향. [자료=산업부]
제주도 분산에너지 특구 추진 방향. [자료=산업부]

정부는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2019년 6월)’, ‘2050 탄소 중립 추진전략(2020년 12월)’을 통해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제시한 바 있다. 재생에너지·집단에너지·연료전지 등 분산형 전원 발전량 비중을 2040년 30%로 확대한다.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 분산에너지 시스템이 긴요한 제주도의 상황을 고려해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의 내용 중 단기 추진이 가능한 대책을 담았다.

산업부는 ‘지역이 주도하는 분산에너지 시스템 구축’이라는 목표 아래 이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대책으로 ▲지역 주도의 에너지 시스템 실현 ▲분산형 에너지 인프라 구축 ▲제주지역 재생에너지 출력 최소화 방안을 마련했다.

지역 주도의 에너지 시스템 실현은 마을 안에 다양한 분산전원을 보급·연결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에너지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맞춤형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충남 홍성군 원천마을은 축산분뇨를 바이오가스로 전환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를 인근에서 소비하고 있다. 비슷한 사례를 제주도 내에서도 발굴하고 지원할 예정이다.

분산형 에너지 인프라 구축은 재생에너지 변동성 완화를 위해 150MW 재생에너지 추가 수용이 가능한 계통 안정화 ESS 23MWh를 2021년에 제주도부터 우선 구축할 예정이다.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에 있는 신재생에너지 홍보관. [사진=산업부]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에 있는 신재생에너지 홍보관. [사진=산업부]

잉여전력을 소비하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플러스 수요반응 제도(Demand Response, DR)를 제주도에서 이번 달부터 도입한다. 제주도부터 재생에너지 발전기(100kW 이상)에 정보제공장치를 설치하고 이를 토대로 재생에너지 예측·제어가 자동으로 이뤄지는 재생에너지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한다.

제주지역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최소화 방안으로는 제주도 내 재생에너지 증가로 전력수요를 초과하는 전력공급이 발생함에 따라 재생에너지 출력제어도 불가피하게 증가하는데 이를 최소화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제주-육지 간 초고압직류송전(HVDC)은 육지에서 제주도로만 전력을 보냈는데 역으로 보내는 시스템을 확보해 제주도 내 잉여전력을 육지로 전송할 예정이다. 2021년 제주도 내 재생에너지 수용 능력이 최대 342MW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제주-육지 간 전력수급 상황에 따라 실시간 양방향 전송이 가능한 #3 HVDC를 2022년 말에 준공하면 제주도 내 재생에너지 수용량은 400MW가 추가될 예정이다.

산업부는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차질없이 이행하기 위해 ‘제주 에너지 협의회’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협의회에는 산업부, 제주도청, 전력거래소, 한국전력공사, 에너지공단 등이 참여한다.

시장제도 개선 방안, 인센티브 제도 마련 등 중장기 제도개선 방향을 포함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을 상반기 내 수립·발표할 예정이다.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 전환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법적 근거인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도 검토해 추진한다.

세종=정종오 기자 ikokid@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제주도, 에너지자립 도시로 탈바꿈한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